갑상선 기능저하증, 우리 몸의 ‘에너지 스위치’가 꺼질 때
하루 종일 피곤하고, 아무리 자도 개운하지 않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닐 수도 있어요.
우리 몸의 에너지 균형을 담당하는 갑상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바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입니다.
눈에 띄지 않게 진행되지만, 조기에 알아두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질환이에요.
지금부터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과 초기 증상, 그리고 도움이 되는 음식까지 함께 살펴볼게요.

1.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란?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말 그대로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해지는 질환이에요.
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기관으로, 우리 몸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만들어냅니다.
이 호르몬이 줄어들면 몸의 에너지를 쓰는 속도가 전반적으로 느려지면서
피로감, 체중 증가, 추위 민감, 우울감 등이 생기죠.
쉽게 말하면, 몸의 ‘에너지 스위치’가 꺼진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가면역 질환(하시모토 갑상선염)이며, 방사선 치료나 수술 후, 혹은 요오드 섭취 이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어요.
2.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초기 증상
처음엔 단순한 피로나 체중 증가로 착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아래와 같은 증상이 2가지 이상 지속된다면 갑상선 기능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쉽게 피로하고 기운이 없음
평소보다 활동량이 줄고 쉬어도 피로가 잘 풀리지 않아요. -
체중이 쉽게 늘어남
식사량이 크게 늘지 않아도 대사속도가 느려져 체중이 서서히 증가합니다. -
몸이 차고 추위를 잘 느낌
여름에도 긴팔을 찾거나, 손발이 유난히 차가워져요. -
얼굴이 붓거나 부종이 생김
아침에 일어나면 얼굴이나 눈두덩이, 손등이 부어 있는 경우가 잦아요. -
피부와 머리카락이 건조함
피부가 거칠어지고 머리카락이 푸석해지며, 탈모가 동반될 수도 있어요. -
목소리가 쉬거나 말이 느려짐
갑상선 부종이나 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목소리가 낮아지고 말이 느려지는 느낌이 납니다. -
우울감,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뇌의 에너지 활동이 줄면서 정서 변화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변비, 생리불순, 손톱이 쉽게 부러짐, 심박수 저하 등도 동반될 수 있어요.
3.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좋은 음식
1) 해조류 (적당량만)
요오드가 풍부한 미역, 김, 다시마는
갑상선 호르몬 합성에 도움을 주지만,
과다 섭취는 오히려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으니
주 2~3회 적당량이 좋아요.
2) 단백질 식품
닭가슴살, 달걀, 두부, 생선 등은 근육 유지와 호르몬 생성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생선에는 셀레늄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해 갑상선 염증
완화에도 좋아요.
3) 아연·셀레늄이 풍부한 음식
굴, 견과류, 브라질너트, 호박씨 등은 갑상선 호르몬이 활성형으로 바뀌는 과정에 필요한 미네랄을 공급합니다.
4) 신선한 채소·과일
항산화 비타민이 풍부해 세포 손상을 줄이고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오렌지, 블루베리, 시금치, 브로콜리, 당근이 좋아요.
4. 피해야 할 음식
1) 요오드 과다 식품
김, 다시마, 미역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갑상선 기능을 억제할 수 있어요.
특히 갑상선 호르몬을 이미 복용 중이라면 과다한 요오드 섭취는 피해야 합니다.
2) 콩류 과다 섭취
콩 속의 이소플라본 성분이 호르몬 대사를 방해할 수 있어요.
두유나 두부는 하루 한두 끼 정도, 적당량이 좋아요.
3) 가공식품, 인스턴트, 고염식
염분과 트랜스지방이 많아 갑상선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요.
가공식품보다는 신선한 식재료 위주의 식단이 필요합니다.
4) 카페인·술
커피, 에너지음료, 술은 대사율과 호르몬 균형을 흐트러뜨릴 수 있으므로 줄이는 게 좋아요.
5. 관리와 예방법
-
정기적으로 혈액검사(TSH, T3, T4) 를 통해 호르몬 수치를 확인하세요.
-
의사의 처방에 따라 갑상선 호르몬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합니다.
-
공복 복용이 원칙이며, 철분·칼슘제와는 4시간 이상 간격을 두세요.
-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해요. 수면 부족은 호르몬 밸런스를 깨뜨립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그냥 피곤한가?’ 하고 넘기기 쉽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비교적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질환이에요.
꾸준한 치료와 올바른 식습관으로 갑상선의 ‘에너지 스위치’를 다시 켜 주세요.